거직증 환자의 가족 구조와 패턴
거식증 증후군의 역사거식증 치료에 세계적인 인물들진단 기준거식증 증후군이란?거식증의 현상학적인 면거직증 환자의 가족 구조와 패턴거식증 증후군의 발달 패턴생리적인 발견들치료의 과정치료 사례치료자의 학력과 경력전문 사이트 소개21세기 정신 장애의 유형

 

거식증, 폭식증 심리치료>거직증 환자의 가족 구조와 패턴

 

 

거식증 환자의 가족들

 거식증 환자의 가족들의 특징이 기능이 피상적이고 공손한 가족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자녀들이 성장을 해 가면서 갈등에 직면해서 조직 안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개인의 구분화를 인정해주는 분리와 자치심을 허용해주는, 잘 기능을 하는 가족과는 달리, 거식증 환자의 가족 구성원이 찰떡처럼 똘똘 뭉처서 밀착해 있다. 즉 너무 과잉 보호적이고 갈등의 해결 능력이 부족하고 부모의 갈등에 어린이를 개입시키는 것이 특징이다(Minuchin, 1979).

 거식증 환자의 가족이 직면하는 문제는 구석구석에 산재해 있다. 거식증 환자의 가족은 미누친(Minuchin), 파라졸리(Palazzoli) 등에 의해서 잘 기술이 되어있다. 정신분석적으로 가족 치료적으로 돌 다 잘 기록이 되어있다. 거식증 환자들 뿐만 아니라 게걸스럽게 먹고 토해는 폭식증 환자의 가족 구조적 특징과 기능적 특징은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부모와 자녀 관계가 세부 조직, 하부 조직에 강력한 힘을 행사하는 경향이 있었다(Minuchin, 1979).

 스스로 굶는 거식증과 혼합된 거식증은 대물림이 된다. 상호 존경이 없다.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평등한 관계가 없다. 가족 갈등을 즐거움을 연막을 쳐서 보이지 않게 한다. 부모들로 하여금 부부 갈등, 가족 갈등을 피하고 자녀들의 문제에 과도한 관심으로 돌려 버린다. 거식증 직전의 딸은 간신히 매달려 있는 나뭇잎처럼 두려움의 상황에 산다. 처벌을 기대한다. 소망을 기대한다. 가족의 하부 조직의 영역이 희미해져 버린다(Minuchin, 1979).

 거식증 환자가 부모 갈등의 중재가 역할을 한다. 각 가족 구성원들은 다른 사람들이 의미하는 것만 말을 한다. 아무도 자기 자신들의 개인의 느낌을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이러한 다자 관계의 가족 패턴이 신체화 장애를 장려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감정 표현을 싫어한다. 구두어로 표현을 하는 것을 싫어힌다. 감정 방출을 차단해 버린다. 각자의 마음을 읽으려고 시도를 한다. 그들은 그녀의 자녀에게 가치와 적당한 능력 감정을 전달하지 못한다. 그들은 구분화가 없는 획일, 일체감을 설교한다. 가족의 조직 속에서 밀착되어 찰떡처럼 되어 버린다. 그들은 거식증 자녀에게 충분한 독립심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몸에 대한 견해와 몸의 관리에 대해서 명료한 견해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거식증 환자는 완벽함을 추구한다. 그들은 지친 자아 감각을 극복하기 위해서 완벽함을 추구한다. 강박적인 완벽주의는 부모의 비판에 대한 방어가 된다. 감정과 밀착 관계에 대한 방어가 된다(Minuchin, 1979).

거식증 가족과 신체화

 200년 전에 나도우(Naudeau,1789)와 라세구(Lasegu,1873)가 거식증 자녀에 가족들의 병적인 영향을 코멘트를 했다. 심인성 질환 개념의 역사를 재 평가해 본 후에 미누친(Minuchin)은 심리역동적인 가족 구조 모델을 기술했다. 갈등과 방어에 취약점과 패턴을 기술했다. 이후에 대인관계의 맥락과 체제 조직으로 확대 시켜서 가족의 심리적 원인의 영향력을 조직 모델로 확대 시켰다(Minuchin, 1979).

 거식증의 행동들은 거식증 환자와 부모 사이에 상호작용의 컨트롤의 유형과 정도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고 미누친(Minuchin)의 연구진이 밝혔다. 거식증 가족은 심인성질환의 가족이다. 서구 가족들은 분리와 개인화를 장려한다. 동시에 보호와 안전을 유지한다. 가족의 하부 조직들은 그들 자신의 한정된 영역을 가진다. 구분화되어 있다. 다자 관계에 참여한 사람들의 밀착된 역할 관계를 동일시 한다. 학동기 이전에 엄마와 아기의 하부 조직에서 다자 관계를 보면 아버지가 배제되어 있고 엄마와 자녀 관계가 밀착된 관계로 보호해주었다. 어린이가 어른이 되어가면서 부모의 하부 조직은 밀착 관계에서 모래알처럼 친밀관계가 없어졌다. 기능을 하는 가족들 한데서는 스트레스 시에 가족 구성원들은 다른 하부 조직을 혼란 시키지 않고 감정 지원을 위해서 적당하게 영역과 한계를 넘어갈 수 있다(Minuchin, 1979).

 예를 들어서 만약에 잠재기의 자녀가(6세-12세)가 친구들과 야구 게임을 보러 갈려고 하면 가족들은 화를 내지 않는다. 어린이들 한데서 발달 단계가 인정되어지고 허가되어지고 참을 수 있게 된다. 사춘기의딸이 교외에서 시내로 가족의 자동차를 운전하려고 하는 요구가 인정이 된다. 감정 지원을 받는다. 그러나 거식증 환자의 가족들 한데서는 삶이 유연하지 못하다. 행복하지 못하다. 밀착 가족이고 과잉보호되어지고 갈등에 고통스럽게 예민하다. 가족의 현재 상태가 경직되게 운영되어진다. 유연성이 없다.거직증 환자의 가족의 부모들은 해결되지 않는 갈등을 달고 다닌다. 실망을 달고 다닌다. 그들 자신들의 어린 시절의 가족의 상실을 달고 다닌다. 자신들의 어린 시절의가족들의 역할들과 동일시를 대물림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이 지금 현재의 가족 조직과 서로 공모적으로 맞물려 있다. 투사 동일시로 서로 맞물려있다. 그 속에서 미워하는 한쪽 부모의 요소가 거식증 자녀에게 투사되어지고 있다. 배우자, 어린이 속에서 동일시 되어지고 있다. 병리에 다양한 수준에서 너와 나의 하나됨과 의존적인 애착이 형성되어진다. 투사, 입사, 쪼갬, 방어기재들이 거식증 환자 가족들 한데 많다(Minuchin, 1979).

 거식증 환자들은 불쾌감에 너무 과도하게 경계심을 보인다. 고통스런 불안을 던져 버리기를 원한다. 갈등을 알 게 어렵게 만들어 버린다. 어린이는 자아 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자녀 몸은 자녀 자신의 것이 아니다. 불안과 긴장이 신체화로 바뀐다. 발달 라인은 즉 자치심, 자신감, 개인적 비밀, 신체 돌보기, 영양분과 감정을 알 게 되는 것이 제한을 받는다. 발달 라인에 제한된다(Minuchin, 1979).

 거식증 환자의 방어 기재의 대응 능력이 유아기로 남아 있게 된다. 어린이의 나이에 적합한 발달 변화가 가족에게는 배신으로 파괴로 보이게 된다. 거식증 가족은 삼각 관계 기능에 걸려든다. 부모와 자녀가 연립해서 한쪽 자녀, 한쪽 배우자에 반대를 한다. 거식증 환자는 자아에 과도하게 예민하고 성격의 실패에 참을 수가 없다. 자신의 무능을 확신하고 스스로를 평가를 할 수가 없다. 밀착과 비평에 대한 그녀의 방어는 부인된다. 부정주의자가 된다. 완벽함의 추구로 향한다. 침투에 대한 방어 전략이 컨트롤 반대로 나타난다(Minuchin, 1979).

 거식증 환자의 환자 가족은 절반 이상이 사회 계층 Ⅰ과 사회 계층 Ⅱ에 속해 있다. 부모가 전문가이고 회사의 관리직, 풍요로운 이웃과 친구들을 많이 질투 한다. 완벽함을 추구하려고 한다. 거식증 가족의 형제들 사이에는 질투와 라이벌 의식이 강하다. 때때로 부모가 질투와 시기에 질식한다. 형제들 사이에 하부 조직에 집중적 경쟁심이 존재한다(Minuchin, 1979).

 거식증 환자의 형제 관계의 6%-10%가 거식증 증세와 신호를 보여주었다. 항상 거식증에 걸리는 소녀들은 막내가 많았다. 그녀는 광적으로 다이어트를 시작하고 언니와 경쟁해서 언니로부터 엄마를 고립시키려고 했다. 이것이 하부 조직의 구분화를 막아 버렸다.이런 가족들은 거친 놀이에 참가하지 않았다. 분명히 공격적인 놀이에 참가하지 않았고 복종적인 시민들이었다. 항상 다른 사람에게 비명을 지르지 않았다. 엄마들은 청결, 정리정돈, 질서유지로 잘 알려져 있었다. 어떤 아버지는 강박적이었다. 운다는 것은 가족들의 얼굴을 찌프리게 했다. 눈물은 숨어서 흘려야 했다. 거식증 환자는 자신의 방문을 잠그는 것이 어려웠다. 과도하게 감시적인 부모의 감시를 받아야 했다. 부모도 자녀도 서로에게 감정을 잘 보여주지 않았다. 거식증 환자는 부모의 기대에 부응해서 자라지 못했다(Minuchin, 1979).

 거식증 모델들은 그들의 가족들 한데서 요구할 권리가 있음을 모르고 있었다. 부모가 원하는 것을 추구하려고 시도를 했다. 부모가 무엇을 줄 것인가를 추측하려고 시도를 했다. 부모가 변장을 하고 느낌들을 속였다(Minuchin, 1979).

 거식증 환자의 엄마는 엄마 자신의 욕구를 자녀에게 제공했다. 엄마는 항상 과잉 보호적이고 강압적이고 좌지우지 했다. 그녀의 가족들로부터 진실된 즐거움이 없고 상호 만족이 없었다. 그것을 엄마의 책임히고 의무라고 보았다. 이런 종류의 엄마들은 나이 어린 시기에 시작되는 거식증 환자들의 엄마들이었다. 나이 많은 거식증 환자들의 엄마들은 돌봄이 없고 경쟁적리고 양면적이고 좌지우지 했다. 엄마의 우울함이 표면적으로 나타났고 심각했다(Minuchin, 1979).

가족의 정신병리는 다 똑 같지 않다. 거식증 환자의 어린 시절의 배경에 엄마의 우울증과 경직되고 분노하고 폭력적인 아버지들이 보고 되고 있다. 엄마에 대한 병적인 의존의 결과,분노한 거식증 환자들이 보고 되고 있다(Minuchin, 1979).

 네미아(Nemiah)는 거식증 환자는 부모에 분노하는 공통점이 있다고 밝혔다.  어린 나이에 시작되는 거식증 딸들을 둔 엄마들의 여러 가지 성격과 행동의 공통점을 모아보자. 어머니들은 자녀들에게 주의 관심이 많았고 그들 자신이 음식을 즐기지 않았다. 엄마들은 가정 일을 관리하는 사람으로서 보채는 일이 많았다. 그들 자신을 순교자로 보았다. 식사들은 고정된 스케줄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모든 사람들은 정각에 식사 테이블에 와야 했다. 가족의 식사는 즐거움이 없었다. 식사 중에 대화는 어머니에 의해서 훈시적인 분위기에서 주도 되었다. 가족들이 식사를 할 때는 긴장 상태에서 말이 없었다. 때때로 식탁에는 메스꺼운 분위기가 감돌았다. 침묵의 메스꺼운 분위기가 엄마에 의해서 엄마의 수유 기간 동안이나 그 이전에 어린이의 대소변 훈련 기간이나 그 이전부터 표현되었다. 과식을 한 어린이 한데서 엄마가 구토를 유도했다. 엄마는 음식에 대해서 메스까움과 먹는 것을 싫어했다. 그러나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Minuchin, 1979).

 대인 관계에서 엄마들은 대인관계에서 실망을 주는 것을 싫어했다. 파티에서는 참석을 했다. 그들은 공격적인 반항의 모습을 묵인하지 않았다. 지역 사회에서 과격한 개인주의를 싫어했다. 그들은 평화주의자였다. 가정의 수호자로써 엄마는 진실로 부인 역할과 엄마 역할을 즐겁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들은 그들의 삶을 실망으로 보았다. 그들 자신을 실패자로 보았다. 나르시즘적 야심과 기대에 실패한 사람으로 보았다. 자신감이 낮은 우울증, 희망이 없고 불안한 엄마들이었다.거식증 엄마들의 75%가 우울한 엄마들이었다. 애통의 지연, 애도의 지연이 엄마의 우울증의 핵심일 수도 있다. 그들의 자녀들에게는 엄마는 야심과 성취를 장려 했다. 동시에 그들은 쓰디쓰게 실망을 했다. 이유는 남편들이 그들의 결혼 초기와 남편으로부터 기대를 제공해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Minuchin, 1979).

 거식증 딸들이 삶에서 후퇴를 할 때 엄마들은 절망에 빠졌다. 엄마들의 분노는 아버지 한데로 방향이 바뀌었다. 엄마는 가족들로부터 감정적으로 철수를 해 버렸다. 엄마는 항상 섹스와 성행위에 대해서 비밀적인 불쾌감을 싫어함을 가지고 있었다. 오랄 섹스는 생각할 수도 없었다. 거식증의 부모는 외모에 과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청교도적이었다. 그들에게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과 사물들에 대해서는 고집불통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전한 경우에는 그들은 논쟁적인 코멘트를 피했다. 불쾌한 논쟁을 피했다. 그들은 항상 긴장 속에 살았다. 그러나 항상 컨트롤적이었다. 거식증 딸이 개선을 보이면 엄마의 공격이 표면으로 드러날 수 있었다(Minuchin, 1979).

 그들은 전통적인 룰을 노예적으로 받아들였다. 전통을 지키는 미국인 가족인 체 했다. 자녀들에게는 헌신적인 엄마들이었다(Minuchin, 1979).

MMPI 검사(다면성 인성 검사)에서 그들은 완벽해 보여야 했다. MMPI 검사 결과는 거식증 환자 가족들은 정상, 완벽함을 갈구 했다. 동시에 감정 철회와 고립의 흔적을 보여주었다. 가족들은 가족 단합을 행복으로 가족 화합을 강조 했다. 부모들은 낮은 자신감과 받아들일 수 없는 느낌들에 대한 방어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엄마는 항상 그녀의 분노와 노여움과 긴장을 그들이 전공을 포기하고 자녀들에게 주의 관심을 돌린 탓으로 믿고 있었다(Minuchin, 1979).

 아버지는 매력을 자처 했다. 건강과 몸을 과시는 사람이었다. 그들은 현재의 몸무게가 대학 동안의 몸무게와 똑 같다고 주장을 했다. 스스로 굶은 거식증과 혼합 거식증의 아버지는 항상 엄마에게 꼼짝 못했다. 아버지는 수동적이고 깜짝 놀란 사람으로 가족들과 거리가 멀었다. 이것은 딸이 일찍 거식증을 가지는 가족의 특징이었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Minuchin, 1979).

 게걸스럽게 먹고 토해내는 폭식증 가족 한데서는 달랐다. 아버지는 엄마 만큼 좌지우지 하고 power를 가지고 있었다. 아버지는 완벽주의자였다. 부인과 딸을 복종하게 만들었다. 그는 부인과 부딪쳤다. 두 사람의 의지의 싸움이었다. 딸을 다이어트로써 엄마에 항의를 하도록 부추겨서 엄마와 딸 사이에 쪼갬, 분열을 시도 했다. 불안전함을 느끼고 있는 아버지는 술을 마시거나 외도 문제를 일으켜서 부인에게 수동적임을 복종적임을 부인하는 연막을 사용하고 있었다. 빈번히 거식증 딸의 어머니는 공격을 피하기 위해서 딸의 적대 감정을 아버지 한데로 돌리도록 장려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향이 바뀌는 방어의 효과는 만약에 아버지를 좌지우지 하는 엄마 혹은 유사한 성격을 가진 누나들에 의해서 양육된 경우에는 재난있다. 이 경우에 아버지는 환자를 아버지 자신의 엄마로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가 직접 삶에서 다른 여성들에게 직접 표현을 할 수 없었던 적대 감정을 거식증 딸 한데로 돌렸다. 아버지와 딸 관계 밑에서 흐르는 적대 감정이 딸의 섹스 발달을 저해하였다(Minuchin, 1979).

 어머니는 아버지에게 적대감정을 느꼈다. 왜냐하면 아버지가 엄마의 나르시즘적 야망을 지원해주지 않기 때문이었다. 엄마가 두려워하는 성공이 남편이 우월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아버지의 성공과 흥미는 엄마에 의해서 가족의 단합에 도전이었다. 거식증 환자의 엄마들은 거식증 딸에서 아버지가 가족의 친밀감과 가족 단합을 지원해주지 않는다고 불평을 했다. 딸들은 아버지를 가족들을 배신한 사람으로 보았다. 가족으로부터 도망을 가는 사람으로 보았다. 거식증 딸의 아버지는 엄마에게 보상을 주기 어려웠다. 아버지는 딸이 사춘기 동안에 딸이 먹는 것을 실망 시켰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아버지는 딸이 아버지 자신의 딸을 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진지로써 생각하도록 했다. 아버지는 엄마가 사춘기 때 딸의 감정을 지원해주지 않았음을 알고 있었다. 외할머니가 어머니를 지원해주지 않았고 대물림이 되었다고 알고 있었다. 아버지는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부인인 엄마를 직면할 수 없음을 알고 있었다(Minuchin, 1979).

 거식증 딸은 사춘기 동안에 엄마로부터 떨어져 나오기 위해서 멀어지기 위한 시도로써 아버지에 가까워지려고 방향을 돌렸다. 거식증의 아버지는 때때로 딸에게 유혹적이었다. 딸이 공격적이고 쓰디쓴 엄마에 대해서 반대하는 유혹적인 아버지를 동일시 했다. 이런 관계가 엄마에 적대  감정을 논쟁으로 이끌었다. 딸이 엄마의 지각을 위험한 것으로 지각하게 했다. 엄마에 대한 아버지의 적대 감정은 아버지와 딸과의 결속 때문에 증가 된다. 아버지는 부인의 애정 부족에 분노한다.아버지의 냉정한 목소리로 딸에게 엄마가 삶에 흥미를 빼앗아 가는 괴물이라고 확신을 시킨다. 엄마에 대한 아버지의 분노가 폭발이 된다. 공격이 폭발한다. 잔인함이 폭발한다. 이런 일들은 딸의 거식증의 위기 시에 일어난다. 아버지는 엄마를 파괴시킴으로써 딸을 소유하려고 시도를 한다. 딸과 나르시즘적 관계를 강화 시킨다(Minuchin, 1979).

 

참고 문헌

Bruch(1988). Conversation with anorexics: A compassionate and hopeful journey through the therapeutic process. N.Y.: Jason Aronson, inc

Bruch(1974). Learning Psychotherapy: Rationale and Ground Rul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Sours(1980). Starving to Death in a sea of object: The Anorexia Nervosa Syndrome. N.Y.: Jason Aronson

Wilson, Hogan & Mintz(1983). Fear of Being of Fat: The Treatment of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Y.: Jason Aronson

Wilson, Mintz(1989). Psychosomatic Symptoms: Psychodynamic Treatment of the underlying Personality Disorder

Minuchin(1979). Psychosomatic Families: Anorexia Nervosa in Context and Family Therapy Techniques

Palazzoli(1978). Paradox and Counter-paradox: A new model in the Therapy of the Family in Schizophrenic Transaction. N.Y.: Jason Aronson

  연락처 
		서울 (목,금,토 )
		부산 (월,화,수 )
		휴대폰  010- 4512-1275 jongmankim@hanmail.net

휴대폰: 010-4512-1275

 jongmankim@hanmail.net.


Copyright(c) 20012 Psychology Clinic. All rights reserved.